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필기] 제 4과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요점 정리

by 3.14pie 2023. 2. 26.

HRN : Hightest Response-ratio Next, SJF 기법을 보완한 것으로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활용한다. 우선순위를 계산해 숫자가 높을 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대기 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SSTF :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트랙의 요청을 먼저 서비스한다.

 

교착 상태 발생의 조건

    -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 한번에 한개의 프로세스만이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 최소한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을 추가로 점유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있어야 한다.

    - 비선점(Non-preemption) :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강제로 뺏을 수 없어야 한다.

    - 환형 대기(Circular Wait) : 공유 자원과 그를 사용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들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을 점유하며 앞이나 뒤에 있는 프로세스의 자원을 요구해야 한다.

 

교착 상태 해결 방법

    - 예방 기법(Prevention) :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시스템 제어, 발생 조건을 부정해 수행한다. 상호 배제 부정, 점유 및 대기 부정, 비선점 부정, 환형 대기 부정

    - 회피 기법(Avoidance) : 교착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교착 상태가 발생하면 적절히 피하는 방법이다. 은행원 알고리즘 사용

    - 발견 기법(Detection) : 시스템에 교착 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해 교착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와 자원을 발견한다. 자원 할당 그래프 사용

    - 회복 기법(Recovery) : 교착 상태를 일으킨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선정해 프로세스나 자원을 회복한다.

 

프로세스 상태 전이

    - 제출(Submit) : 사용자가 작업을 시스템에 제출한 상태

    - 접수(Hold) : 제출된 작업이 디스크의 할당 위치에 저장된 상태

    - 준비(Ready) : 프로세서를 할당받기 위해 기다리는 상태

    - 실행(Run) : 준비상태 큐에 있는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상태

    - 대기, 블록(Wait, Block) : 프로세스에 입출력 처리가 필요하면 현재 프로세스가 중단되고 완료까지 대기하는 상태

    - 종료(Terminated, Exit) : 프로세스의 실행이 끝나고, 할당이 해제된 상태

 

    - Dispatch : 준비 상태의 대기하던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 Wake Up :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어 프로세스가 대기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 Spooling : 입출력 장치의 처리 속도 보완, 다중 처리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한꺼번에 입출력하기 위해 디스크에 저장하는 과정

 

IEEE 802 표준 규격

    - 802.1 : 전체의 구성, OSI 참조 모델과의 관계, 통신망 관리에 관한 규약

    - 802.2 : LCC(논리 링크 제어) 계층에 관한 규약

    - 802.3 : CSMA/CD 방식의 매체 접근 제어 계층에 관한 규약

    - 802.4 : 토큰 버스 방식의 매체 접근 제어 계층에 관한 규약

    - 802.5 : 토큰 링 방식의 매체 접근 제어 계층에 관한 규약

    - 802.6 : 도시형 통신망(MAN)에 관한 규약

 

IEEE 802.11

    - 802.11 초기 : 2.4GHz 대역 전파, CSMA/CA 기술, 2Mbps 속도

    - 802.11a : 5GHz 대역 전파, OFDM 기술, 54Mpbs 속도

    - 802.11b : 초기 버전 대역 전파와 기술 사용, 11Mbps, 5배 이상 빠름

    - 802.11e : 802.11의 부가 기능 표준, QoS 기능 지원을 위해 MAC 계층 부분 수정

    - 802.11g : 2.4GHz 대역 전파를 사용하지만 11a 처럼 최고 54Mbps 속도 지원

    - 802.11i : 802.11의 부가 기능 표준, 인증 방식에 WPA/WPA2 사용

    - 802.11n : 2.4GHz와 5GHz 대역 사용, 최고 600Mbps 속도 지원

 

연산자 우선 순위 : 단항 > 산술 > 시프트 > 관계 > 비트 > 논리 > 조건 > 대입 > 순서

 

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6비트가 8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이뤄져 있으며 16진수로 표현하고 : 으로 구분한다. IPv4보다 전송 속도가 빠르고 호환성이 좋다.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을 지원해 보안성이 높다.

    - Unicast : 단일 송신자, 단일 수신자 간 통신으로 1:1

    - Multicast : 단일 송신자, 다중 수신자 간 통신으로 1:N

    - Anycast : 단일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단일 수신자 간 통신으로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