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계 데이터 구성
송신 시스템 -> 네트워크 -> 중계 시스템 -> 네트워크 -> 수신 네트워크
송신모듈 모니터링 수신 모듈
모니터링 변환 및 매핑 모니터링
연계 데이터 연계 데이터
- 송신 시스템 : 데이터를 DB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게 테이블이나 파일 형태로 생성해 송신하는 시스템
- 중계 시스템 : 외부 시스템 간의 연계,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연결, 데이터 보안 강화 및 다중 플랫폼 지원 가능
- 수신 시스템 : 수신한 테이블이나 파일을 알맞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 DB에 저장하거나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 네트워크 : 유, 무선망, ISP, 프로토콜
연계 요구사항 분석 - 참고 문서, 도구 및 기법, 결과물
- 참고 문서 : 시스템 구성도 (네트워크, S/W, H/W..), 응용 어플리케이션 구성 (메뉴 구조도, UI 정의서..), ERD,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 도구 및 기법 : 사용자 인터뷰, 체크리스트, 설문지, 델파이 기법 (그 분야의 전문가 활용), 연계 솔루션 비교 분석
- 결과물 : 요구사항 분석서, 인터페이스 정의서, 회의록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연계 코드 매핑 및 정의 -> 변경된 데이터 구분 방식 정의 -> 데이터 연계, 표현 방식 정의
-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시스템 간 연계할 정보를 상세화하고 범위와 항목 정의, 데이터 타입 (string, null..), 데이터 크기 (송신 데이터 > 수신 데이터 시 잘리는 데이터의 필요성 확인) 등을 송신 시스템에 맞출지 수신 시스템에 맞출지 정의
- 연계 코드 매핑 및 정의 : 연계 정보 중 코드로 관리되는 항목 변경 (송신 시스템 코드를 수신 시스템 코드로 매핑, 송수신 시스템의 코드를 통합해 표준화 후 매핑)
- 변경된 데이터 구분 방식 정의 : 식별자 추가 (송신된 정보가 수신 시스템의 어떤 데이터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PK 항목 추가), 변경 구분 추가 (송신된 정보를 수신 시스템의 테이블에 추가, 수정, 삭제할 데이터인지 식별하는 정보 추가),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 추가 (연계 정보의 송수신 여부, 일시, 오류 코드 등을 확인하고 인터페이스 테이블이나 파일에 정보 추가)
- 데이터 연계, 표현 방식 정의 : 연계 데이터 표현의 기본 분류는 DB의 테이블과 파일 형식, 정의된 연계 항목의 데이터 타입, 길이, 공통 코드 여부 등 속성을 확인하고 연계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
2. 연계 메커니즘 구성 - 직접 연계, 간접 연계
직접 연계 : 연계 및 통합 구현이 단순하고 용이, 개발 소요 비용 및 기간 짧음, 중간 매개체가 없어 연계 처리 성능이 좋음, 시스템 결합도가 높아 시스템 변경에 민감, 암복호화 처리나 비즈니스 로직 적용 등 불가, 연계 및 통합 가능한 시스템 환경 제한적
DB Link : DB에서 제공하는 객체 이용, 송신 시스템이 수신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설정을 정의하는 객체
DB 연결 : 수신 시스템의 WAS에서 송신 시스템 DB로 연결되는 Connection Pool 생성
JDBC : 수신 시스템의 배치나 온라인 프로그램에서 JDBC 드라이버를 이용해 송신 시스템의 DB와 연결
하이퍼링크 : 웹 어플리케이션 페이지에서 하이퍼 링크 사용
API/Open API : 송신 시스템의 DB와 연결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간접 연계 : 서로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 등 다양한 환경에서 연계 및 통합 가능, 시스템 변경 시에도 장애나 오류 없음, 암복호화나 비즈니스 로직 적용 가능, 연계 아키텍처 및 메커니즘이 복잡, 중간 매개체로 성능 저하, 테스트 기간 김
EAI :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어플리케이션들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 실제 송수신 처리와 진행 현황을 모니터링 및 통제하는 EAI 서버, 송수신 시스템에 설치되는 어댑터 이용
Web Service / ESB : WSDL (웹 서비스명, 위치, 메시지 포맷, 프로토콜 정보 등 웹 서비스에 대한 설명 파일)과 SOAL 프로토콜을 이용한 시스템 간 연계
Socket : 소켓을 생성해 포트 할당, 클라이언트 요청을 연결해 통신, 네트워크 프로그램 기반 기술
연계 장애 및 오류 유형
연계 시스템 : 연계 서버의 실행 여부, 송수신, 전송 형식 변환 등 서버 기능과 관련된 장애 및 오류
연계 응용 프로그램 (송신) : 데이터 추출을 위한 DB 접근 시 권한 불충분, 데이터 변환 시 예외 처리 미처리 등 구현상 오류
연계 응용 프로그램 (수신) : 운영 DB에 반영하기 위한 DB 접근 권한 불충분, "
연계 데이터 : 송신 시스템에서 추출된 연계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값으로 인한 오류
연계 시스템 : 연계 서버 미기동, 송수신 시스템의 IP 및 포트 접속 불가 -> 연계 서버의 로그 확인해 원인 분석 후 처리
연계 응용 프로그램 (송신) : 등록되지 않은 코드로 매핑 불가 -> 송수신 시스템 연계 프로그램의 로그 확인해 원인 분석 후 처리, 이후 데이터 전송 및 반영 재작업
연계 응용 프로그램 (수신) : 등록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 -> "
연계 데이터 : 유효하지 않은 일자 -> 로그 확인해 데이터 보정 후 재전송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기] 제 1과목 - 소프트웨어 설계 요점 정리 (0) | 2023.02.26 |
---|---|
정보처리기사 실기 - 통합 구현 (2) (0) | 2022.01.17 |
정보처리기사 실기 - 데이터 입출력 구현 (4) (0) | 2022.01.15 |
정보처리기사 실기 - 데이터 입출력 구현 (3) (0) | 2022.01.14 |
정보처리기사 실기 - 데이터 입출력 구현 (2) (0) | 2022.01.13 |